생성했던 인스턴스를 여러 번 삭제하고, 가상네트워크도 지웠다 만들었다...몇 번을 해도 왜 index 화면을 보기 어려운 걸까...ㅠ
검색을 해보니 포트 아니면 방화벽의 문제였다.
nginx 설치하니 80포트는 자동으로 열어두는 것 같다. 그러니 포트 문제도 아니고...
아래 수신규칙은 찾아 들어가기 힘들다.
콘솔에 들어가
1.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 메뉴로 들어간다.
2. 목록에서 생성된 VCN를 선택한다.

3. 상단 "보안" 메뉴로 들어가면 아래 목록이 나오고 선택해서 들어가서 "보안규칙"에 가면 수신규칙을 추가할 수 있다.


인스턴스 생성 시 OS 이미지는 우분투로 했는데 우분투 방화벽은 아예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 이것도 문제가 아니었다.
$ sudo ufw status
sudo: ufw: command not found
그러다 한방에 해결이 되었다. (해결이 된 줄 알았다.)
$ sudo iptables -F
이 명령어를 실행해주어야 했다.
(처음 성공을 했을 때도 저 명령어를 실행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이 명령어는 모든 방화벽 규칙을 초기화하는 것이라서 사용할 때 신중해야 한다고 하는데 나는 아무런 방화벽 규칙도 만들지 않았는데 왜 접속이 되지 않았는지 잘 모르겠다.
설정 시 아래 블로그를 참조했다.
프리티어의 콘솔화면이 예전 것이라 조금 다르다.
(3)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ubuntu, nginx, PHP7 설정
(3)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ubuntu, nginx, PHP7 설정
1 (1) 오라클 클라우드 Free Tier 가입 (VM2개,100G 하드, 10TB 트래픽 평생무료) 2 (2) 오라클 클라우드 Free Tier 무료계정에 linux,nginx,mariadb,PHP,wordpress 몽땅 쓸어넣자 3 (3)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unbuntu, nginx,
techhans.tistory.com
BUT...그러나...이것은 우연의 일치였다.
실은 저 명령으로 해결된 것이 아니었다.

이미지에서 소스를 보면 0.0.0.0/0 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수정 후)
원래는 10.0.0.0/16으로 되어 있었는데 이것을 퍼플렉시티 답변을 보고 0.0.0.0/0으로 고쳤던 것인데 iptable 명령을 써서 해결이 된 줄 알고 원래대로 10.0.0.0/16으로 돌려놨더니 다시 접속이 안되는 것이었다.
아래는 퍼플렉시티의 답변이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으로 IP 주소 범위를 나타낸다.

'오라클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으로 maria db에 접속하기 (0) | 2025.04.14 |
---|---|
maria db 설치하기 (0) | 2025.04.14 |
우분투 nginx에 PHP 설치하기 (0) | 2025.04.14 |
PHP 설치 전 디렉토리 권한 설정하기 (0) | 2025.04.14 |
오라클 클라우드 프리티어 (0) | 2025.04.12 |